|
클래식은 물론 재즈의 필수 악기, 독주는 물론 반주 악기로 쓰이는 팔방미인, ‘악기의 왕’으로 불리는 피아노가 처음 만들어진 것은 1700년이다. 현과 반향판을 수직으로 세워 만든 업라이트 피아노가 처음 등장한 것은 1800년이다. 요즘에야 피아노가 중산층 가정의 필수 악기로 자리 잡았지만 업라이트 피아노가 처음 나올 때만 해도 일반 가정에서는 엄두도 못 낼 만큼 비싼 사치품이었다. 영국 학교 교사의 1년치 월급을 몽땅 털어야 살 수 있었다. 피아노에 대한 궁금증을 정리했다.
이장직 음악전문기자
1. 현존하는 최고(最古)는 1720년 산
이탈리아 피렌체 메디치 궁정에 건반악기 쳄발로를 만들어 납품하던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1655~1731)가 1700년에 만든 피아노가 사상 최초의 피아노다. 그가 만든 피아노 가운데 현존하는 것은 3대. 이 가운데 가장 오래된 1720년산이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돼 있다. 건반 54개(4옥타브 반)짜리다. 또 1722년산 피아노가 로마 악기 박물관, 1726년산이 라이프치히 악기 박물관에 있다. 피아노의 원래 이름은 ‘아르피침발로 케 파 일 피아노 에 일 포르테’. 강약을 구사할 수 있는 건반악기라는 뜻이다. 이를 줄여 ‘피아노포르테’라고 불렀고, 결국 ‘피아노’라고 부르게 됐다. 하지만 크리스토포리가 만든 피아노는 당시 별 좋은 반응을 얻지 못했다.
2. 800여 개의 부품이 사용되는 정밀 기계
피아노의 무게는 업라이트의 경우 200㎏. 그랜드는 250㎏, 연주회용 그랜드 피아노는 500㎏까지 나간다. 피아노는 800여 개의 예민한 부품이 사용되며 제조 과정은 상당 부분 수작업으로 이뤄지는 노동집약적 산업이다. 유럽과 미국에서 시작된 피아노 제조업은 일본과 한국을 거쳐 중국이 세계 최대의 피아노 제조국·수출국으로 자리 잡았다.
3. 국내 TV 드라마 제목에도 등장
조재현·조민수·김하늘 등이 출연한 SBS-TV 드라마 ‘피아노’(2001년)는 가장의 갑작스러운 정리해고로 집과 피아노까지 팔아야 하는 한 가정의 슬픈 이야기를 담았다. 여기서 피아노는 단란한 중산층 가정의 꿈과 희망을 상징한다. 연주를 할 수 있다면 금상첨화겠지만 그냥 거실 한복판에 놔두더라도 가정의 교양과 수준을 말해주는 ‘가구’ 인 피아노는 물질적 풍요에 대한 만족감, 안정된 삶의 상징이다. 사회학자 막스 베버는 피아노를 중산층 가정의 필수적인 가구 품목이라고 말했다. 베버는 산업혁명으로 인한 중산층의 발달과 가정 중심의 실내문화 발달을 가져온 북유럽의 궂은 날씨를 그 이유로 꼽는다.
4. 월부제도 덕에 수요 폭발
한국에서 피아노가 처음 제조된 것은 1958년이다. 당시만 해도 외국 부품을 들여와 조립하는 단계였다. 삼익피아노가 1969년부터 조흥은행과 판매 대금 적금식 불입제 (월부제)를 시행함으로써 국내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당시만 해도 국내에서 피아노는 특별 소비세를 물어야 하는 사치품에 속했다.
5. 재봉틀 가게에서 팔던 시절
18세기 말 직립형 피아노는 재봉틀·탁자·책상·캐비닛·침대 겸용으로 나왔다. 건반을 책상 서랍처럼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피아노, 사각형 피아노의 바닥 부분에 매트리스와 수납장을 보탠 침대 겸용 피아노도 나왔다. 남북전쟁 이후 미국에서는 수십 년간 재봉틀과 건반악기가 같은 부류의 품목으로 취급됐다. 둘 다 같은 상점에서 판매됐으며, 판매상들은 마차에 피아노와 재봉틀을 함께 싣고 다니면서 가정을 방문했다.
6. 스타인웨이 “할인? 우린 그런 거 없습니다”
피아노의 대명사 스타인웨이의 창업자는 스타인베크. 독일 태생의 캐비닛 제조업자다. 이름을 영어식으로 바꾼 뒤 1853년 3월 뉴욕에 피아노 공장을 차렸다. 끊임없는 기술 개발로 피아노 관련 특허 128종을 따냈다. 지금까지 단 한 번도 할인 행사를 하지 않는 대신 대신 뉴욕 타임스 등에 대형 광고를 꾸준히 게재해 고급 이미지를 만들어 왔다. 스타인웨이는 유명 공연장, 음악학교의 필수 악기다.
7. 최고가는 2억4000만원짜리
이탈리아 페사로 로시니 음악원에서 피아노를 전공한 파올로 파치올리는 1980년 아버지에게 물려받은 사무용 가구공장을 그만두고 피아노 제조 회사를 차렸다. 파치올리가 만든 길이 308㎝, 무게 690㎏짜리 그랜드 피아노 ‘파치올리 F308’의 값은 17만1000달러(약 2억4000만원)다. 사상 최대 규모의 피아노는 1935년 영국 국왕 조지 5세의 은혼식을 맞아 영국 피아노 제조업자 찰스 체일린이 말레이시아 공장에서 만든 길이 355㎝, 무게 1.25t짜리 그랜드 피아노다. 연주회장에서 볼 수 있는 스타인웨이 콘서트 그랜드의 길이는 274㎝다.
8. 중고는 밋밋한 디자인이 더 비싸
피아노의 색깔이나 디자인은 구입하는 취향에 맞게 고르면 된다. 하지만 중고 시장에서는 디자인이나 색깔보다는 검정 같은 보수적인 색깔과 화려한 장식이 없는 디자인이 더 인기다. 피아노의 외부 마감이 깔끔하면 그만큼 정성을 들여 만든 것이다. 특히 눈에 띄지 않는 부분을 잘 살펴봐야 한다. 디지털 피아노는 아무리 기술이 발달해도 어쿠스틱 피아노를 흉내낼 수 없다. 전문가들은 어쿠스틱 피아노와 전자 피아노를 별개의 악기로 생각한다. 피아노의 수명은 어떻게 취급하느냐에 달려 있다. 피아노는 습기를 싫어한다. 적정 습도는 42%. 35% 이하로 내려가거나 65% 이상으로 올라가면 곤란하다. 서재가 있는 방에 피아노를 두어 습기를 조절하면 좋다. 온도는 20℃가 적당하다. 직사광선을 피해야 한다. 건반에 얼룩이 묻었을 때는 하나씩 올려서 부드러운 헝겊으로 물기만 약간 적셔 닦는다. 중고 피아노를 구입하려면 1986~1995년에 제작된 피아노가 좋다. 이 때가 한국 피아노 산업의 전성기였다.
2009.03.27 00:01 입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