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 뿌리인 독립군 음악발굴 힘 쏟아야 '' 노동은 중앙대 교수 - 서울신문 2011.11.14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강교성
댓글 0건 조회 3,374회 작성일 11-11-22 09:48

본문

[서울신문] "국군 뿌리인 독립군 음악발굴 힘 쏟아야"

글쓴이 : 운영자날짜 : 11.11.14조회 : 9

13일 서울 금천구 시흥동 개인 연구실에서 만난 노동은(65) 중앙대 국악대학 창작음악과 교수는 “학우단가의 발굴은 우리 국군의 뿌리를 찾은 것”이라며 의미를 부여했다. 노 교수는 한국 음악학회 회장과 중앙대 국악대 학장을 역임한 국악계 원로다.

다음은 노 교수와의 일문일답.



SSI_20111113223232_V.jpg
▲ 노동은 중앙대 국악대학 창작음악과 교수
→항일가요를 연구하게 된 계기는.

-임종국
선생의 친일문학론을 보고 우리 음악사에도 이런 것이 있지 않겠느냐고 생각했다. 그래서 친일음악을 연구하다 항일가요 연구로 범위를 넓혔다.

→당시 가요가 친일과 항일로 뚜렷하게 구분되는지.

-몇몇 곡은 그렇다. 박시춘씨의 ‘혈서지원’ 같은 것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항일음악의 경우
가사 몇 개를 바꾸는 것으로 순수음악이 항일로 바뀌기도 했다. 예를 들어 1920년대에 가장 인기 있었던 ‘내 고향을 이별할제’라는 노래에서 어머니를 조국으로 바꿔 부른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근대 음악사는 순수음악 위주 아닌가.

-
독립전쟁이나 혁명을 거친 프랑스 등의 유럽과 남미의 경우 당시 독립과 해방을 노래한 곡들이 ‘국가’가 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우리는 해방 이후 친일파 청산에 실패하면서 당시 친일 경력의 음악가들이 자신의 행적을 지우기 위해 순수음악 위주로 우리 근대음악사를 이끈 것이다. 지금이라도 우리 민족의식을 일깨운 저항의 노래들을 발굴해야 한다.

→우리 국군의 음악에도
일제 잔재가 남아 있는지.

-과거에는 그랬지만 지금은 없다.
일본 해군 군가 중 ‘무명지 깨물어’로 시작하는 노래가 있었는데 예전에 우리 군가였다. 하지만 역사 바로 세우기 과정에서 빠진 것으로 안다. 아쉬운 점은 우리 국군의 뿌리인 독립군 음악 발굴이 아직 미진하다는 점이다. 군 차원에서 나섰으면 좋겠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구글플러스로 공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